전체 글 170

[ AWS ] - Rds 기본

AWS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Rds는 aws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완전관리형으로써, aws 자체에서 확장성, 높은 가용성, 데이터베이스 백업 등을 사용자를 대신하여 알아서 관리해줌으로써 사용자는 오직 서비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준다. Rds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베이스 엔진 ‣ Amazon Aurora ( mysql 호환 버전, postersql 호환 버전) ‣ MySQL ‣ MariaDB ‣ PosterSQL ‣ Oracle ‣ SQL Server 각각의 DB 엔진마다 파라미터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 DB 인스턴스 aws 클라우드에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환경으로, RDS의 기본 구성요소이다. DB 인스턴스에는 인스턴스 식별자가 존재..

AWS 2022.06.21

[ Next.js ] - next-auth 사용법 (credentials)

next-auth next에서 사용되는 패키지의 일종으로 로그인과 같은 사용자 인증 기능을 제공하여 준다. Github, Google, Facebook, Credentials 등의 인증 옵션을 제공한다. 여러 인증 옵션 중에서 Credentials는 사용자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받아 백엔드 서버를 통해 인증하는 것이다. 사용법 기본적으로 next 환경을 세팅하여 준다. > npx create-next-app --typescript 해당 명령어 입력후 프로젝트 명을 입력하고 기본설정을 선택하여 준다. next-auth사용을 위한 패키지를 설치하여 준다. > npm install next-auth or > yarn add next-auth .env파일에 NEXTAUTH_URL=http://localhos..

Javascript/Next.js 2022.06.18

문자 인코딩(character encoding)과 charset

문자인코딩 ( character Encoding )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0과 1과 같은 바이너리 형태의 정보만을 인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문자나 기호들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해주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바로 문자 인코딩이라 한다. 반대로 0과 1로 이루어진 컴퓨터 신호를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주는 것을 디코딩이라 한다. 즉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사전에 약속된 규칙에 따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0과 1과 같은 숫자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여기서 사전에 약속된 규칙들의 집합을 Character Set 이라고 한다. 다양한 인코딩 방식이 존재하기 때문에 문서 간에 인코딩 방식이 일치하지 않으면 컴퓨터가 문자를 사용자의 본..

이론 2022.06.16

[ NestJs ] - NestJs란?

NestJs? nodejs에서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워크의 하나이다. 타입스크립트와 OOP(Object Oriented Programming)을 지원한다는 특징이 있다. NestJs 초기 세팅 // 기본적으로 node.js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였다. // nest.js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야 한다. > npm i -g @nestjs/cli nest cli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역에 nest client인 @nestjs/cli를 설치하는 명령어이다. > nest new [project_name] nestjs의 프로젝트를 위한 기본적인 폴더 구조 및 환경을 생성하여 주는 명령어이다. [project_name] 생성하려는 project의 명칭을 넣는다. 해당 명령어 입력 시 위와 같이 어..

Javascript/Node.js 2022.06.15

[ Node.js ] - iamport를 사용해서 pg사 연동해보기

Iamport 카카오페이, 토스페이 등 국내 PG사와의 연동을 제공하여 주는 서비스이다. 1. 가입 및 로그인 아임포트 사이트 : https://www.iamport.kr 위의 사이트를 들어가면 맨 처음에 지금 시작하기를 클릭 후 회원가입한다. 회원가입 후 로그인시 위와 같은 창이 나오면 왼쪽 아래에 관리자 콘솔 1.0바로가기를 클릭한다. 위와같은 창이 나오면 시스템 설정을 클릭한다. 시스템 설정창에 들어가면 가맹점 식별코드와 REST API키, REST API secret이 나오는데 해당 정보들은 pg 연동시 사용된다. 2. 사용자 측 화면에 결제창 보여주기 공식문서 : https://docs.iamport.kr/implementation/payment 위의 링크는 공식문서 링크로 예시가 존재한다. 우..

Javascript/Node.js 2022.06.15

[ 이론 ] - mvc / 쿠키 세션

MVC (Model-View-Controller) 데이터 및 논리 제어를 구현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 모델 : DATA, 정보들의 가공을 책임지는 컴포넌트 ▪ 뷰 :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 즉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컨트롤러 : 모델(Model)과 뷰(View) 사이를 이어주는 브릿지(Bridge) 역할 mvc 패턴식 개발은 시스템 결합도를 낮추어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높여준다. 쿠키 vs 세션 기본적으로 HTTP프로토콜 환경은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그에 대한 서버의 응답이 일회성으로 이루어지며, 이전의 기록은 유지되지 않는다., 이러한'connectionless, stateless'의 HTTP 프로토콜의 특성으로 인하여 서버는 매요청시 사용자에 대한 검증..

이론 2022.06.15

[ AWS ] - aws polly 음성 전환 후 s3에 저장하기

polly aws에서 제공하는 TTS 서비스로 사용한 만큼만 비용이 부과된다. * TTS ( Text To Speech )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문자를 음성으로 전환하여 주는 기술이다. 요약 1. aws 로그인 후 aws polly와 s3에 대한 모든 권한을 허용해주는 iam 계정을 생성하고, accessKey와 secretKey를 보관하여 둔다. 2. node.js 환경 기본적인 서버 환경을 구축하여 준다. 3. aws-sdk를 사용하여 s3 버킷을 새롭게 생성하여 준다. // aws-sdk를 이용하여 개발하기 위해 iam 계정 생성으로 받은 accessKey와 secretKey가 필요하다. 4. aws polly로 텍스트를 음성 전환한다. 5. 전환된 파일을 생성한 버킷에 업로드 한다. 6. 업로드..

AWS 2022.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