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0

[ 세팅 ] - 맥북 homebrew 설치하기 ( +node 설치 )

homebrew는 맥북에서 프로그램 등의 설치를 명령어로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아래의 사이트 들어간 후 보이는 명령어를 복사한다.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터미널에 들어가서 복사했던 명령어를 입력한다. Launchpad - 기타 - 터미널을 클릭한다. 터미널에 들어와서 복사한 명령어를 입력한다. 이후 맥북 password 입력하고, 계속 enter를 눌러준다. brew 입력 시 아래와 같이 나오면 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brew 명령어 패키지 설치하기 > brew install [패키지명] brew 를 통해서 설치한 패키지 목록 확인..

세팅 2022.06.12

[ Node.js ] - node.js란? ( + 기본 코드 )

Node.js 👉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이다. node.js는 서버 실행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런타임 : 특정 언어로 만든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 서버 :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클라이언트 : 요청을 보내는 주체로, 주로 브라우저를 의미한다.( 모바일 앱이나, 다른 서버에 요청을 봬는 서버도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다. ) 특성 ✔ 이벤트기반 이벤트가 발생할 때 사전에 짜여진 작업을 수행한다. 즉 특정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이벤트에 설정해둔 콜백함수를 호출한다. 호출된 함수들은 순서대로 호출 스택에 들어가고 함수 실행이 완료되면 호출 스택에서 마지막에 들어간 호출부터 지워지게 된다. 즉 후..

Javascript/Node.js 2022.06.10

[ JAVASCRIPT ] - 객체 메소드

Object.assign( ) 객체 형태로 복제하여 준다. const user = { name: 'mihee', age: 27, like: 'snack' }; const new_user = Object.assign(user); // user의 내용을 {}에 담아 new_user에 할당한 것이다. // { name: 'mihee', age: 27, like: 'snack' } console.log(new_user); const info1 = { like: 'tv' } const info2 = { hobby: 'sleep' } Object.assign(new_user, info1, info2); console.log(new_user); // { name: 'mihee', age: 27, like: 'tv',..

Javascript/etc 2022.06.10

[ AWS ] - RDS 설정하기 (with 워크벤치와 prisma 연동)

RDS ( Relational Database Service )? aws 에서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특징 기존에 사용자가 사용하던 Database 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 ex) mysql, mariadb, oracle, postersql ) 서비스 사용량 만큼 요금이 부과된다. * free tier (mysql 기준) : Amazon RDS 단일 AZ db.t2.micro, db.t3.micro 및 db.t4g.micro 인스턴스 사용량 750시간 미만 비용 관련 https://aws.amazon.com/ko/rds/mysql/pricing/ 사전 작업 iam 사용자 생성 1. aws 계정에 로그인 한 후 우측 상단 클릭 후 보안 자격 증명을 클릭합니다. or 검색하는 곳에..

AWS 2022.06.09

[ Error ] - AWS RDS에 prisma 연결시 에러

Rds 데이터 베이스 생성은 성공했는데 계속 접속이 안 되었는데 해당 port 번호 허용이 안되어서 발생한 문제인 것 같다. 해결 해당 RDS의 연결&보안에서 VPC 보안 그룹 부분 클릭하고 들어가서 해당하는 보안 그룹을 클릭한다. 인바운드 규칙 편집 클릭한다. 규칙 추가 클릭한다. 이와 같이 추가 후 규칙 저장을 클릭한다. 이후 다시 접속해보면 성공적으로 접속된다.

ERROR 2022.06.09

[ WEB ] - 호스팅이란 무엇인가?

WHAT IS HOSTING? 사용자가 네트워크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공개하고 다른 사람들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해당 에플리케이션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서버가 필요하다. 그런데 직접 서버를 구축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인력과 비용 그리고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 호스팅이란 위와 같이 직접 서버를 구축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것으로, 서버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서버를 임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준다. 호스팅의 종류로는 크게 웹호스팅, 서버호스팅, 클라우드호스팅 등이 존재한다. 1. 웹 호스팅 웹 호스팅이란 내가 만든 웹사이트 등을 다른 사용자들이 볼 수 있도록 인터넷상의 공간을 임대하여 해당 공간에 나의 사이트를 배포(즉 공개)하는 것을 의미한다. ..

이론 2022.06.09

[ WEB ] - DNS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DNS and how it works? DNS ( Domain Name Server ) www.naver.com www → HostName naver.com → Domain DNS란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주는 인터넷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메인명과 IP 주소를 매핑해 주는 거대한 분산 네이밍 시스템이다. 본래 IP 주소는 147.46.8.205와 같이 4바이트의 크기로 된 숫자 형태인데, 이는 컴퓨터가 인식하기에는 유용하지만 사용자는 기억하기 어렵고 직관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사용자가 실제 사용시에는 숫자 형태로 된 주소를 naver.com이나 goole.com 과 같이 사람이 기억하기 쉽고 직관성이 높은 문자의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naver.com이나 google..

이론 2022.06.09

[ WEB ] - 브라우저 작동 원리

Browsers and how they work? 브라우저란 무엇인가? 브라우저는 *월드 와이드 웹 상에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하는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정보로는 HTML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이 있다. 크롬, 사파리, 파이어 폭스 등이 잘 알려진 브라우저들이다. * 월드 와이드 웹 (World Wide Web, WWW, W3)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으로, 컴퓨터 간의 거대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브라우저의 주요 기능은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 즉 자원을 서버에 요청하고 이를 사용자가(즉 사람) 인식할 수 있는 모양으로 출력하여 주는 것이다.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구현해내는 과정에서 과거에는 각각의 브라우..

이론 2022.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