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0

[기타]

instancdOf 해당 변수가 가리키는 인스턴스의 실제 타입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spring boot : 스프링 부트는 웹서버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여러 편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프레임워크이다.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두 가지 방법 Q) 빈(Bean)이란? 컴포넌트 스캔을 통한 자동 의존관계 설정 방식 위의 방식은 어노테이션 등을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ex)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자바 코드를 통해 직접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방식 gradle : gradle은 Groovy를 기반으로 한 빌드 도구로 빌드, 테스트, 배포 등을 자동화하였다. Projects : gradl..

카테고리 없음 2022.12.27

[ Java ] - 변수의 타입(기본형 / 참조형) * 자바메모리 구조

변수의 타입 변수는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자바에서 변수 타입은 기본적으로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구분되는데, 기본형은 변수의 메모리 공간에 값 자체가 할당되는 것이며, 참조형은 변수의 메모리 공간에 해당 값이 저장된 주소가 저장된다. * 상수 한 번 값을 할당한 후 다른 값을 할당할 수 없는 변수를 의미한다. 상수는 값의 재할당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변수의 선언과 함께 값의 초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상수로 선언한기 위해서는 변수의 타입 앞에 final을 붙여주면 된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기본형 타입으로는 문자형(char), 숫자형(byte, short, int, long), 실수형(float, double), 논리형(boolean)이 있으며, 변수 메모..

JAVA 2022.12.25

[ Java ] - 어노테이션(annonation)

어노테이션 ( = annonation) @ScopedProxy // @PostConstruct @PostConstruct 어노테이션의 경우 서버가 실행되어, bean이 생성된 후 딱 한 번만 실행된다. bean은 생성된 후 의존성 주입이 이루어지고, 그 뒤에 해당 빈을 초기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PostConstruct는 빈의 의존 관계 주입이 완료된 후 실행되는 초기화 콜백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어노테이션이다. 이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서드의 경우 다른 리소스에서 해당 메서드가 호출되지 않아도, 서버 실행 시 자동으로 수행된다. @PostConstruct 어노테이션은 아래와 같이 사용된다. (@PostConstruct 어노테이션은 빈을 우선 생성 후, 그 뒤에 초기화를 해주는 경우에 사용가능..

JAVA 2022.12.24

[ Spring ] - IoC컨테이너와 DI

IoC컨테이너란? 인스턴스(=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생성된 인스턴스들에게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도 한다. * 빈 : 객체를 통해 생성된 인스턴스를 빈이라고 한다. Bean 생명 주기 컨테이너란? IoC(Inversion on Control)란? 직역하면 제어의 역전을 의미하며, 개발자가 프로그램의 흐름의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프로그램의 흐름이 제어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존 관계가 있는 클래스들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상화하여 관리한다면, 개발자는 해당 의존관계에 대한 설정만을 해주고, 실질적인 의존 관계의 연결은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맡아 하게 되는 것이다. ** 스프링 IoC 컨테이너 : 스프링 프레임워크로, 의존 관계를 식별하고 인스턴스화하면..

JAVA 2022.12.09

[ mongodb ] - mongodb 비밀번호 까먹었을 때

mongodb 비밀번호 까먹었을 때 터미널을 켜고 mongod.conf 파일을 열어본다. homebrew로 mongodb를 설치한 나의 경우 mongodb.conf 파일의 위치는 /opt/homebrew/etc 경로에 mongod.conf 파일이 존재한다. > vi mongod.conf 명령어를 통해 해당 파일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파일 내용에서 맨 아래부분의 authorization을 disabled로 변경하여 주는데, 이는 우선 mongodb 계정 설정에 접속할 수 있도록 잠시 설정을 바꿔주는 것이다. 명령어 > i 를 누르면 해당 파일 편집 모드가 된다. 이후 파일 내용을 아래와 같이 바꾸어 준다. 아래와 같이 바꾼 후 esc 를 누른 후 > shift + : 를 누..

DATABASE 2022.12.04

[ Spring boot ] - intellij IDEA + gradle + jpa 프로젝트 생성하기(feat. rest api)

gardle + jpa를 활용한 프로젝트 생성 방법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아래와 같은 preferences를 클릭한다. gradle을 검색하여 아래와 같은 화면을 찾으면 가운데에 Build and run using 과 Run tests using부분을 Gradle에서 Intellij IDEA로 변경해준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intellij IDEA를 열고, 프로젝트 명, 저장 위치, gradle, 설치된 jdk와 자바 버전을 선택해주고 next를 클릭한다. 이후 프로젝트 생성시 함께 추가할 라이브러리를 설정하는데 기본적으로는, spring web / lombok / mysql driver / spring data jpa 를 추가하여 준다. - spring web :..

JAVA/Spring Boot 2022.11.19

[ Java ] - stream API 활용

Stream API 활용 stream api는 자바 8에서 새롭게 추가된 것으로, 데이터를 더욱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api이다. stream api를 통해 더욱 간결하고 가독성 있는 코드 작성이 가능해졌다. stream api의 경우 람다를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ex1-1) 기존의 코드 public class Ex01 {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 List list = Arrays.asList("oh","mi","hee"); Iterator it = list.iterator(); while(it.hasNext()) { System.out.println(it.next()); } } } ex1..

JAVA 2022.10.09

[ React ] - 기본 개념 프로젝트 생성

React 리엑트는 SPA로서, 독립적이며 재사용이 가능한 UI 컴포넌트를 통해 화면이 구성된다. 기존에 웹사이트 구현 방식이 HTML, CSS, Javascript가 별도로 구분되어 관리되던 형태인 반면, 컴포넌트 기반인 리엑트는 HTML, CSS, Javascript를 컴포넌트 단위로 묶어 함께 관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기존 MPA 형태의 사이트는 서버로부터 완성된 페이지를 받아 구현되는데, 리엑트는 처음의 요청에 해당 사이트에 존재하는 모든 페이지 구헌에 필요한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받아 브라우저가 그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사용자 UI를 구현한다. 이후에 추가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서버에 json 형식의 데이터만을 요청하고 응답받아, 기존의 UI에 데이터를..

Javascript/React 2022.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