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내부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외부 단말기 접속 방법

algml0703 2025. 2. 11. 19:58
반응형

>  ifconfig | grep "inet " | grep -v 127.0.0.1

맥에서 위의 명령어 입력 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출력하여주는데, 해당 명령어는 현재 컴퓨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루프백주소(Loopback) 즉 127.0.0.1을 제외한 IPv4주소를 출력하여 주는 명령어이다.

ifconfig -> 현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출력하여 주는 명령어  ifconfig(=interface configuration)

grep "inet " -> ifconfig를 통한 결과에서 inet 문자열을 포함하는 줄들을 찾는 명령어

grep -v 127.0.0.1 -> 위에서 찾은 줄들에서 127.0.0.1이 포함된 줄을 제외하고 출력하여 주는 명령어 

inet 123.45.6.7 netmask 0xffffff00 broadcast 123.45.6.255

이때 예를 들어 내 노트북 컴퓨터에서 로컬호스트로 서버를 실행 시킨 후에 같은 네트워크를(ex 와이파이 or 유선 랜/이더넷)를 사용중인 휴대폰이나 다른 컴퓨터를 통해 123.45.6.7와 서버를 실행 시킨 포트에 접속하면 내 노트북에서 실행되는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다. (방화벽으로 막힌 경우를 제외...)


위에서 출력된 결과를 확인해보면

inet 123.45.6.7 -> 현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v4 주소, 즉 현재 내 컴퓨터가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주소

netmask 0xffffff00 -> 16진수로 표현된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broadcase 123.45.6.255 -> 브로드캐스트 주소

 

 

TODO: 더 자세히 알아볼 내용
* 이더넷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를 의미
-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루프백(Loopback) 주소 
~ 개발할 때 자기 자신의 서비스(예: 로컬 DB, API 서버 등)와 통신하는 용도로 활용
* 서브넷 마스크
* IPv4 주소
컴퓨터나 장치가 네트워크에서 식별되는 고유한 숫자 주소로,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소이다.

반응형